C31. 기타운송장비
업종 정의
산업의 특성
  • 기타운송장비 제조업은 선박 및 보트 건조업, 철도장비 제조업, 항공기, 우주선 및 부품 제조업, 그 외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으로 기술장벽이 높고 운송장비에 특화된 기술이 요구되는 사업으로, 소공인 영역은 주로 철도장비, 보트, 그 외 전기자전가 부품 가공업체들이 있다.
  • 항공기, 우주선 부품, 선박은 소공인 영역에서 제외하며 그 외 소형 모터 제조는 포함.
주요 공정
  • 보트 및 전기자동차의 경우는 부품을 공수해 조립 및 검사하는 공정이며, 철도산업 장비 제조의 경우 기능 및 내/ 외관 검사와 성능시험이 주요 공정임
품질요구 사항
  • 철도산업 장비 제조의 경우 검사 및 성능 테스트가 품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이므로 성능시험 환경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장비 도입이 필요하며, 운송장비의 특성 상 완제품의 성능 테스트를 위한 설비 및 장치가 중요한 요인임
Supply Chain 특징
  • 주요 공급업체가 정해져 있고 (철도공사 등), 보트의 경우 소비자가 직접 제조 의뢰한 경우가 많음
공정 정의(대분류)
수주 및 원자재관리

업의 특성상 반제품, 부품을 구입/ 입고 하여 입고 검사 진행 (반제품, 부품의 기능 및 성능 검사 진행)

생산관리

1차 가공은 특정 부품 조립이나 인쇄회로기판(PCB) 제작, 1차 가공품을 제작/ 검사하는 공정이며, 최종 완제품을 조립 제작하는 공정까지 포함한다.

검사 및 출하관리

완제품의 성능시험 (전기자전거의 경우 주행 시험)과 최종 품질 검사 완료 후 출하

기준 공정도
스마트공방 목표 및 성과지표의 하위 세부지표
→ 스크롤
P. 생산성(Product) Q. 품질(Quality) C. 원가(Cost) D. 납기(Delivery) S. 산업안전(Safety)
1. 생산품목수 증가(증가율)
2. 매출액 증가(증가율)
3. 영업이익률(증가율)
4. 생산모델 증가(모델수)
5. 시간당 생산량(증가율)
6. 설비가동률(향상률)
1. 공정불량률(감소율)
2. 완제품 불량률(감소율)
3. 검사불량률(감소율)
4. 반품율(감소율)
5. Claim 건수(감소율)
1. 작업공수(절감률)
2. 제품원가(절감률)
3. 재공재고(절감률)
4. 재고비용(절감률)
1. 수주출하리드타임(감소율)
2. 납기단축(감소율)
1. 도수율(감소율)
2. 강도율(감소율)
3. 재해율(감소율)
4. 아차사고(감소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