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2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업종 정의
산업의 특성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은 기계 또는 장비의 부품, 제품을 제조하는 노동집약적 산업이다.
  • 다품종 소량 제조로 고객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 수주 제작방식이 일반적이며 자체설계 및 제작을 하는 경우와 고객이 도면을 제공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주요 공정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 산업은 고객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기계 및 장비의 설계, 자재를 가공/조립하여 검사하는 공정이 중요하며, 가공, 조립 시 발생하는 공정데이터와 검사 시 수집되는 검사데이터를 연계하여 품질분석을 실시해야 한다.
  • 자재의 적시 입고가 생산성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준정보인 자재명세서(BOM) 관리가 중요하다.
품질요구 사항
  • 제품 불량 시 불량 원인을 확인하며, 불량원인별로 현장개선을 수반한다.
  • 품질추적은 시간대별 추적과 제품/부품 일련번호 추적이 병존하며, 추적의 최상위 수준은 사용된 자재 품질까지 요구된다.
  • 입고 자재 불량이나 가공불량이 있을 경우 조립시간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가공과 부품 조립공정 관리가 중요하며, 따라서 단계별 Check Sheet를 활용하여 불량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Supply Chain 특징
  • 고객요구대응을 위해 안전재고 또는 선행생산으로 인한 재고도 존재한다.
  • 자동화 장비 제조와 같은 다품종 소량 고객 맞춤형 생산을 지향하는 산업에서는 고객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제품 설계가 중요하다.
공정 정의(대분류)
수주 및 원자재관리

수주방식은 발주자가 요구하는 제품 규격에 따라 공급자가 제품 또는 부품을 제작/공급하는 도급과, 원재료를 발주자가 구매하여 공급자에게 공급하고 제품 또는 부품을 제작/공급하는 사급으로 구분된다.

생산관리

선행공정인 소재 가공과, 후행공정인 조립, 도장, 검사로 나누어지며 모든 제작공정을 보유한 경우와 선행공정과 후행공정을 소공인 사업장별 공정별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

검사 및 출하관리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제작된 제품을 검사하는 공정으로 시험 테스트와 시험성적서 발급을 하는 과정으로 신뢰할 수 있는 시험성적서 발급이 중요하며 도장, 출하 후 불량은 클레임으로 직결될 수 있으므로 시험성적서 발급과 도장, 포장, 출하 시작업자의 휴먼에러 관리가 중요하다.

기준 공정도
스마트공방 목표 및 성과지표의 하위 세부지표
→ 스크롤
P. 생산성(Product) Q. 품질(Quality) C. 원가(Cost) D. 납기(Delivery) S. 산업안전(Safety)
1. 생산품목수 증가(증가율)
2. 매출액 증가(증가율)
3. 영업이익률(증가율)
4. 생산모델 증가(모델수)
5. 시간당 생산량(증가율)
6. 설비가동률(향상률)
1. 공정불량률(감소율)
2. 완제품 불량률(감소율)
3. 검사불량률(감소율)
4. 반품율(감소율)
5. Claim 건수(감소율)
1. 작업공수(절감률)
2. 제품원가(절감률)
3. 재공재고(절감률)
4. 재고비용(절감률)
1. 수주출하리드타임(감소율)
2. 납기단축(감소율)
1. 도수율(감소율)
2. 강도율(감소율)
3. 재해율(감소율)
4. 아차사고(감소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