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27-2.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광학기기)
업종 정의
산업의 특성
  • 의료용 기기, 측정·시험·항해·제어 및 기타 정밀 기기, 안경·사진 장비 및 기타 광학 기기, 시계 및 시계 부품 등을 제조하는 산업이다.
  • 광학기기는 광학적 상을 맺게 하거나 광속의 종류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를 말하며 본 참조모델은 X-Ray 촬영장비 제조에 대한 스마트공방 참조모델이다.
주요 공정
  • X-Ray 촬영장비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최적의 작업조건하에서 안정된 공정으로 품질, 비용, 납기(QCD)에 합당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는 프로세스이다.
  • X-Ray 튜브 하우징, 발생부 제조 공정, 제품조립, 검사 단계로 진행한다.
  • 생산 결과물의 요구사항으로는 미국 식품의학국(FDA), CE 등의 인증 기준에 따른 적합성 확보가 중요하며, 스마트 개선 요소로는 무인 세척 공정 , 실시간 정확한 수량정보의 확보, 품질기반의 프로세스 단축이 중요하다.
품질요구 사항
  • 단위 부품 조립 검사, 직접 구동을 하거나 구동에 간접적으로 연동되는 부분에 대한 검사를 선행하여, 제품화 후 발생되는 문제를 최소화 하여야 한다(기능검사 합격품 중심으로 제품조립을 진행하여 제품제작 후 확인되는 매몰비용 최소화)
  • 제품기능 검사 : 제품 포장 전 최종검사를 발생부와 연동하여 진행하되, 연속작업의 생산제품일 경우 자동검사기를 활용하고, 개별 작업일 경우 검사기기를 통해 전수검사를 실시한 후, 이력관리, 부적합 발생시 공정별 분석을 통해 개선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Supply Chain 특징
  • 원재료 입고검사(누적적 입고부적합 거래처에 대한 대안 확보)가 중요하다.
공정 정의(대분류)
수주 및 원자재관리

입고된 자재에 대하여 수입검사를 통해 제품 투입에 가능여부를 결정한다. 구동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자재는 전수검사를 실시하고, 간접영향 품목은 샘플링검사를 실시한다.

생산관리

단위조립 후 조립된 단위부품의 핵심기능을 하는지 광학기기 구동에 직접적인 작동을 하는지 확인 검사와 제품 조립 후 각제품 Lot에 맞게 생산되었는지 확인한다.

검사 및 출하관리

제작된 제품(광학기기)에 대하여 Aging 검사, X선 누설 선량 검사 등 구동기능과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기반으로 작동상태의 최종검사를 실시한 후 고객의 주문서에 따라 제품을 포장하고, 거래명세서와 함께 고객에게 출고한다.

기준 공정도
스마트공방 목표 및 성과지표의 하위 세부지표
→ 스크롤
P. 생산성(Product) Q. 품질(Quality) C. 원가(Cost) D. 납기(Delivery) S. 산업안전(Safety)
1. 생산품목수 증가(증가율)
2. 매출액 증가(증가율)
3. 영업이익률(증가율)
4. 생산모델 증가(모델수)
5. 시간당 생산량(증가율)
6. 설비가동률(향상률)
1. 공정불량률(감소율)
2. 완제품 불량률(감소율)
3. 검사불량률(감소율)
4. 반품율(감소율)
5. Claim 건수(감소율)
1. 작업공수(절감률)
2. 제품원가(절감률)
3. 재공재고(절감률)
4. 재고비용(절감률)
1. 수주출하리드타임(감소율)
2. 납기단축(감소율)
1. 도수율(감소율)
2. 강도율(감소율)
3. 재해율(감소율)
4. 아차사고(감소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