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22-2.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업종 정의
산업의 특성
  • 원료상태의 플라스틱 재료 및 재생 플라스틱 물질을 사출가공·처리하여 각종 형태 및 용도의 플라스틱성형품 및 플라스틱가공품을 제조하는 산업 활동을 말한다.
  • 이러한 플라스틱제품은 유리섬유와 탄소섬유 등의 강화물질 또는 다른 물질을 보강, 적층하거나 지지물로 가용할 수 있다.
주요 공정
  •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사출성형 또는 압출 성형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제작
  • 사출 성형 – 성형재료를 사출성형기(射出成形機)의 실린더 안에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금형의 캐비티안에 가방, 주입 및충전하여 고화 또는 경화시켜 제품으로 만듦(상자/케이스, 병, 산업용 부품)
  • 압출성형 – 압출기(押出機)속에서 가열, 가압 해서 유동상태로 만든 후 다이(Die)에서 연속적으로 밀어내는 성형방법(파이프, 전선피복, 시트, 필름, 섬유)
품질요구 사항
  • 산업용 기계/부품, 자동차용 부품들에 사용되어 정밀도를 요구하는 제품이 많으며, 제품을 만드는 원료의 특성상 외형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어 특별한 품질 관리가 필요함
Supply Chain 특징
  • 소규모 제조 현장에서 제작하여, 다양한 산업체의 부품으로 납품하며, 원재료에서 가공 제작-납품까지 복잡하지 않은 공급 구조를 가지고 있음
공정 정의(대분류)
수주 및 원자재관리
  • 합성수지, 재생원료, 안료 등을 공장 또는 창고에 크레인, 지게차 또는 인력에 의해 운반, 적재, 보관
  • 요구되는 제품에 적합한 합성수지 원료 외에 여러가지 색깔의 안료 및 PVC, 가소제, 충진제, 안정제 등을 저울 계량하여 혼합 및 배합
생산관리
  • 혼합/ 배합이 끝난 원료를 인력, 지게차 또는 크레인으로 운반하여 사출성형기에 투입 (인력 또는 자동 공급장치)
  • 플라스틱 성형품을 얻기 위해 사출성형기에 적합한 금형을 장착하고 원료를 투입한 후 계량, 가열용융, 사출, 냉각, 취출 작업 진행
검사 및 출하관리

성형 후 사상, 검사 및 조립 과정을 거쳐 생산된 제품을 운반용기 등에 담아 인력이나 지게차, 이동 대차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운반한 후 창고에 적재하거나 운반차량에 상차하는 작업

기준 공정도
스마트공방 목표 및 성과지표의 하위 세부지표
→ 스크롤
P. 생산성(Product) Q. 품질(Quality) C. 원가(Cost) D. 납기(Delivery) S. 산업안전(Safety)
1. 생산품목수 증가(증가율)
2. 매출액 증가(증가율)
3. 영업이익률(증가율)
4. 생산모델 증가(모델수)
5. 시간당 생산량(증가율)
6. 설비가동률(향상률)
1. 공정불량률(감소율)
2. 완제품 불량률(감소율)
3. 검사불량률(감소율)
4. 반품율(감소율)
5. Claim 건수(감소율)
1. 작업공수(절감률)
2. 제품원가(절감률)
3. 재공재고(절감률)
4. 재고비용(절감률)
1. 수주출하리드타임(감소율)
2. 납기단축(감소율)
1. 도수율(감소율)
2. 강도율(감소율)
3. 재해율(감소율)
4. 아차사고(감소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