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22-1. 고무제품 제조업
업종 정의
산업의 특성
  • 고무제품 제조업은 고무물질을 원료로 사출, 압출, 성형 및 기타가공을 통해 각종 형태의 가정용, 공업용 또는 기타용의 1차제품, 반제품 및 완제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으로 정의하며, 주요제품에는 타이어, 튜브, 합성고무, 신발이 있다.
  • 자동화가 어려운 노동집약적 작업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스마트 공방 대상 사업자는 주로 부품용 고무제품이나 건설, 생활용(미끄럼 방지 제품) 등을 생산하는 회사가 대부분이다.
주요 공정
  • 원재료를 입고하여 소련(생고무의 탄성을 낮추고 가소성과 가공성을 좋게 함)과정을 거쳐 가공에 용이한 특성을 부여하고, 배합제를 혼합하여 가공에 적합한 원료 제조
  • 크게 성형과 가황 공정으로 진행되며, 성형은 캘린더~압출~성형과정을 거쳐 외관을 제조한 후 가황 공정을 거쳐 탄성고무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품질요구 사항
  • 고무산업은 첨단소재, 수송기계, 생활용품, 휴먼소재, 신소재(고내열 고무소재), 전기 전자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어, 응용 산업별로 요구하는 품질 수준이 다양함
Supply Chain 특징
  • 자동차 부품과 생활용품 산업인 생필품, 의료용품, 건설현장에 사용되는 부자재 등 제조회사에 주로 납품이 되며, 제품의 특성이 오래 유지되어 재고 관리에 부담이 적지만, 제조 공정에서 온/ 습도 유지는 중요한 이슈임
공정 정의(대분류)
수주 및 원자재관리

원자재 입고 및 입고검사 후 고무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제조에 필요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저작(소련) 및 배합 공정을 진행함

생산관리
  • 고무 원료를 투입하여 캘린더-압축-성형과정을 거치며 성형 후에 가황제를 투입하여 고무특성 유지
  • 이 세가지 공정은 순서대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제품별로 성형의 방법이 달라진다.
검사 및 출하관리

가공이 완료된 제품에 열처리, 냉각, 연마, 세척 공정을 진행하며 최종 검사 후 출하

기준 공정도
스마트공방 목표 및 성과지표의 하위 세부지표
→ 스크롤
P. 생산성(Product) Q. 품질(Quality) C. 원가(Cost) D. 납기(Delivery) S. 산업안전(Safety)
1. 생산품목수 증가(증가율)
2. 매출액 증가(증가율)
3. 영업이익률(증가율)
4. 생산모델 증가(모델수)
5. 시간당 생산량(증가율)
6. 설비가동률(향상률)
1. 공정불량률(감소율)
2. 완제품 불량률(감소율)
3. 검사불량률(감소율)
4. 반품율(감소율)
5. Claim 건수(감소율)
1. 작업공수(절감률)
2. 제품원가(절감률)
3. 재공재고(절감률)
4. 재고비용(절감률)
1. 수주출하리드타임(감소율)
2. 납기단축(감소율)
1. 도수율(감소율)
2. 강도율(감소율)
3. 재해율(감소율)
4. 아차사고(감소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