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20.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업종 정의
산업의 특성
  • 나프타 같은 석유제품이나 천연가스를 원료로 에틸렌, 프로필렌, 벤젠, 톨루엔 등 기초 유분을 생산하는 산업이고, 이러한 원료를 기반으로 합성 수지, 합성 섬유, 원료, 합성고무 그리고, 정밀화학의 중간재와 화성품을 제조하는 산업이다.
  • 소공인 사업장은 주로 기초 무기/ 유기 화학 물질 제조, 염료, 유연제, 착색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세제, 화장품, 광택제 그리고,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비료/ 질소 화합물, 살균ㆍ살충제 및 농약 제조업체가 해당한다.
주요 공정
  • 자재 입고 및 수입검사와 자재 불출 과정에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른 가이드라인 준수가 중요하며, 제조 과정에서 계량, 혼합, 압출 과정이 최종 산출물의 품질을 결정하게 되고, 원료 보관 및 포장/출하 과정에서 안전 관리 필요함
품질요구 사항
  • 공정별 품질 분석 기능 강화가 요구되며, 정밀 사업이므로 계량, 혼합, 소분 과정에서 품질관리가 특히 중요하며, 변경점 관리의 체계화 및 공정이상 감지능력 강화가 필요함
  • 공정처리 데이터의 획득 및 분석체제 구축이 요구되며 이후 고도화 과정을 통해 데이터 기반으로 제어 기능 확보를 통한 품질 확보가 요구됨
Supply Chain 특징
  • 원료구입 및 보관/ 관리 과정에서 제작 라벨링, 포장/ 출하까지 안전관리가 가장 중요한 요소임
공정 정의(대분류)
수주 및 원자재관리
  • 원재료 입고 검사 및 보관의 과정이며, 원재료가 석유화학원료를 사용하므로 안전관리에 유의가 필요
  • 원재료의 칭량(계량) 및 재료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환경 확보(온도, 습도 등)가 중요함
생산관리

최종 제조물이 액체/ 기체일 경우와 고체일 경우가 달라지며, 액체/ 기체는 계량-혼합-소분 및 충진의 과정을 거치고, 고체는 성형(일정한 형태)을 위한 공정과 커팅작업이 추가됨

검사 및 출하관리

라벨링까지 완료된 제품을 검사와 포장 후에 출하 진행

기준 공정도
스마트공방 목표 및 성과지표의 하위 세부지표
→ 스크롤
P. 생산성(Product) Q. 품질(Quality) C. 원가(Cost) D. 납기(Delivery) S. 산업안전(Safety)
1. 생산품목수 증가(증가율)
2. 매출액 증가(증가율)
3. 영업이익률(증가율)
4. 생산모델 증가(모델수)
5. 시간당 생산량(증가율)
6. 설비가동률(향상률)
1. 공정불량률(감소율)
2. 완제품 불량률(감소율)
3. 검사불량률(감소율)
4. 반품율(감소율)
5. Claim 건수(감소율)
1. 작업공수(절감률)
2. 제품원가(절감률)
3. 재공재고(절감률)
4. 재고비용(절감률)
1. 수주출하리드타임(감소율)
2. 납기단축(감소율)
1. 도수율(감소율)
2. 강도율(감소율)
3. 재해율(감소율)
4. 아차사고(감소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