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업종 정의
산업의 특성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은 수작업 공정을 수반하는 노동집약적 산업이다.
  • 다품종 소량, 소품종 대량 등 제작 계획에 따라 제작하고 있으며, 고객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 수주하여 제작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주요 공정
  • 고객의 요구 또는 패션 시장(트랜드)을 분석하여 소비자 취향을 반영한 디자인을 기획하여 도식화하는 디자인의 결정과, 신체(발) 사이즈와 디테일 등 디자인을 평면 제도를 기반으로 메인 생산과 재주문(Reorder)을 결정하므로 패턴제작이 중요함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 공정은 노동집약적 공정으로 타 산업분야에 비해 자동화 수준이 낮은 것이 특징임
품질요구 사항
  • 제품 불량 시 불량 원인을 확인하며, 불량원인별로 현장개선을 수반한다.
  • 디자인의 기능과 이미지에 따라 디자인에 적합한 원단 선정이 중요하며 원단의 적합성은 품질과 직결된다.
  • 제품 제작 후 전체적인 색상 및 부피의 배열이 적절한지 점검하고 부착물의 부착 상태와 제품의 규격에 따른 사이즈 및피팅(Fitting) 상태 확인이 중요하다.
Supply Chain 특징
  • 고객요구대응을 위해 안전재고 또는 선행생산으로 인한 재고도 존재한다.
  • 선행생산으로 인한 이월 재고가 발생하면 악성재고가 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패션 트랜드 분석에 기반한 수요 예측이 중요하다.
공정 정의(대분류)
수주 및 원자재관리

고객의 요구와 트랜드에 적합한 가죽 가방과 신발제품의 기획, 디자인에 적합한 원단을 선정하고 입고된 원단의 작합성을 확인한다.

생산관리

선행공정인 디자인 제작과, 후행공정인 피할, 갑피, 저부, 미싱, 검사로 나누어지며 다수의 수작업 공정이 존재하고 있어 공정별 생산, 품질관리가 중요하다.

검사 및 출하관리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제작된 제품을 검사, 포장하는 공정으로 제품 상태, 전체적인 색상 및 부피의 배열이 적절한지 점검하고 부착물의 부착 상태와 제품의 규격에 따른 사이즈 및 피팅(Fitting) 상태 확인하여야 하며, 출하 후 불량은 클레임으로 직결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휴먼에러 관리가 중요하다.

기준 공정도
스마트공방 목표 및 성과지표의 하위 세부지표
→ 스크롤
P. 생산성(Product) Q. 품질(Quality) C. 원가(Cost) D. 납기(Delivery) S. 산업안전(Safety)
1. 생산품목수 증가(증가율)
2. 매출액 증가(증가율)
3. 영업이익률(증가율)
4. 생산모델 증가(모델수)
5. 시간당 생산량(증가율)
6. 설비가동률(향상률)
1. 공정불량률(감소율)
2. 완제품 불량률(감소율)
3. 검사불량률(감소율)
4. 반품율(감소율)
5. Claim 건수(감소율)
1. 작업공수(절감률)
2. 제품원가(절감률)
3. 재공재고(절감률)
4. 재고비용(절감률)
1. 수주출하리드타임(감소율)
2. 납기단축(감소율)
1. 도수율(감소율)
2. 강도율(감소율)
3. 재해율(감소율)
4. 아차사고(감소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