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0. 식료품 제조업
업종 정의
산업의 특성
  • 식료품 제조업은 농업, 임업, 어업 등에서 생산된 산출물을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의 재료가 되는 동물용 사료로 가공하는 산업이다.
  • 음식을 가공하여 가공된 제품을 유통사, 판매사, 가정, 식당 등지로 분산시키는 형태를 가진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주요 공정
  • 식료품을 제조하여 유통하는 산업으로 원부자재의 입고, 선별, 세척, 건조, 가공, 금속 검출 등 모든 공정이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 CCP(중요관리점) 관리 규정을 준수하여 공정 관리 되어야 한다.
  • 수작업 공정이 다수 수반되고 있으며, 공정별 작업자 안전관리(끼임 사고 등)가 중요하다.
품질요구 사항
  • 제조 식품의 판매 후 불량은 치명적이므로 제조 과장에서 불량 원인을 확인하며, 불량원인별로 현장개선을 진행하여야 한다.
  • 품질은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 CCP(중요관리점) 관리 규정 및 제품 소비자의 요구사항과 식품 관련 법규에 따라 철저히 관리되어야 한다.
Supply Chain 특징
  • 고객요구대응을 위해 안전재고 또는 선행생산으로 인한 재고도 존재한다.
  • 선행생산으로 인한 이월 재고가 발생하면 악성재고가 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수요 분석에 기반한 생산관리가 중요하다.
공정 정의(대분류)
수주 및 원자재관리

제조 식품에 적합한 원부자재를 선정하고 입고된 원부자재의 신선도, 불순물, 등급 등을 확인한다.

생산관리

식료품 제조로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 CCP(중요관리점) 관리 규정과 식품 관련 법규에 따른 생산관리가 중요하며 균일 제품의 생산과 보관 등 공정 프로세스별 품질관리가 중요하다.

검사 및 출하관리

생산 후 출하전 냉장/냉동 보관 및 관리가 중요하며, 출하 후 고객 인도까지 배송시에도 냉장/냉동 배송 등 신선도 관리가 중요하다.

기준 공정도
스마트공방 목표 및 성과지표의 하위 세부지표
→ 스크롤
P. 생산성(Product) Q. 품질(Quality) C. 원가(Cost) D. 납기(Delivery) S. 산업안전(Safety)
1. 생산품목수 증가(증가율)
2. 매출액 증가(증가율)
3. 영업이익률(증가율)
4. 생산모델 증가(모델수)
5. 시간당 생산량(증가율)
6. 설비가동률(향상률)
1. 공정불량률(감소율)
2. 완제품 불량률(감소율)
3. 검사불량률(감소율)
4. 반품율(감소율)
5. Claim 건수(감소율)
1. 작업공수(절감률)
2. 제품원가(절감률)
3. 재공재고(절감률)
4. 재고비용(절감률)
1. 수주출하리드타임(감소율)
2. 납기단축(감소율)
1. 도수율(감소율)
2. 강도율(감소율)
3. 재해율(감소율)
4. 아차사고(감소율)